주식 지표 PER과 PBR 제대로 알려드림

안녕하세요.푸리입니다.
오늘은 주식 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꼭 알아야 할 PER과 PBR에 대해 알아볼게요. 어려워 보이는
용어지만, 실제로는 정말 유용한 투자 지표랍니다. 제가 쉽게 설명해드릴 테니 끝까지 함께해주세요!

PER, 이게 뭔가요?

PER(Price to Earnings Ratio)은 쉽게 말해서 ‘주가가 회사 이익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예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PER 해석하는 법

낮을수록: 싸게 거래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높을수록: 비싸게 거래되고 있을 수 있죠
하지만! 무조건 낮다고 좋은 건 아니에요


PBR은 또 뭔가요?

실제 예시로

주가가 5만원이고
주당순자산이 2.5만원이면
PBR = 50,000 ÷ 25,000 = 2.0배
이 회사는 실제 자산가치보다 2배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죠!



PBR 체크포인트

1보다 낮으면 자산 대비 저평가 상태
1보다 높으면 프리미엄이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단, 업종별로 차이가 큰데 업종들에 맞춰서 비교해보면 됩니다.

두 지표 같이 보면 이렇게 해석해요!

PER 낮고 PBR 낮음
전형적인 가치주예요


하지만 아까 말씀드린대로 업종에 맞춰 다를 수 있으니 많이 낮은건
뉴스를 통해서 정말 상대적으로 낮은건지 이게 평균인 건지 확인할 수 있어요.


PER 높고 PBR 낮음
일시적으로 실적이 안 좋을 수 있어요


실적 회복 가능성을 봐야해요

PER 낮고 PBR 높음
수익성이 좋은 회사일 수 있어요
효율적인 경영의 신호
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PER 높고 PBR 높음
성장주일 가능성이 높아요
미래 성장성을 잘 따져보세요






초보 투자자를 위해 우선 업종 평균치를 말씀드리면 업종별로 기준이 다르다고 했는데

IT기업은 PER이 높은 게 보통이에요. 즉 기업 3개를 두고 비교해보시면되고
은행주: PER이 낮은 편이기에 은행주끼리 비교해보고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보세요!


부채비율은 어떤지 영업이익률의 추이는 어떤지.
시장점유율은 어떻게 되나요?

과거 추이를 확인해보고 1년 전과 비교해보시면서
앞으로의 변화 방향이 중요해요

마무리하며

PER과 PBR은 주식 투자의 기본 중의 기본이에요.
처음에는 어려워 보여도, 실제로 계산해보고 적용해보면 금방 익숙해지실 거예요.

이제 뉴스나 증권사 리포트를 보실 때 PER, PBR이 나와도 이걸 볼 수 있다면
좋은 매매기회를 알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푸리의 경제일상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